티스토리 뷰

반응형

 

 나는 전설이다 는  2007년에  개봉한  아포칼립스 SF  스릴러  영화이며  리처드 매드슨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좀비 영화가 아닌, 인간성과 고독, 희망과 희생이라는 깊은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감  독  :   프란시스  로랜스

출  연  ;  윌 스밋 ,  엘리스 브라가, 찰리 타핸, 샐리 리차드슨, 윌로우 스미스

 

**줄거리

 

나는  전설이다는    2012년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   암 치료제로 개발된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서 인류는 멸망의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감염된 사람들은 햇빛을 두려워하는

흡혈 괴물(다크시커)로 변이하고 생존자들은 거의 전멸합니다.

로버트 네빌(윌 스미스 분)은 미국 육군 바이러스학자로서, 뉴욕에서 홀로 살아남아 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려 합니다. 그는 애완견 샘과 함께 폐허가 된 도시에서 살아가며, 낮 동안에는

생존을 위한 식량을 구하고 밤이 되면  괴생명체인   다크시커들로부터  자신과  선생님이

공격받지 않기 위해 안전한 집을  구축해  방어합니다.

매일  아침  라디오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며  다른 생존자를  찾으려  노력합니다. 

 매번  응답이  없자  네빌의  외로움은  점점  커져 갑니다. 어느 날, 네빌은 감염자 중 하나를

생포하여 실험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연구가 계속 실패하며, 슬픔과  고독 속에  지쳐가고  있었습니다.

네빌의  유일한 동반자인 샘마저 감염되면서 그는 깊은 절망에 빠집니다. 절망 속에서 자살을

시도하려던 그 순간  안나(앨리스 브라가 분)와 소년 이든(찰리 타한 )이 나타납니다.

그들은 생존자들의 마을이 있다는 정보를 전하며 네빌을 설득합니다.

네빌은  자신의  피가  면역력이  있어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감염자

  한 명을  생포해실험을  한결과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다크시커들이 그의 집을 공격하면서

마지막 전투가 벌어집니다.

네빌은   자신의  피를  뽑아   안 나와 이든에게  주고  탈출시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합니다.

안 나와  이선은  안전한 곳에  도착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네빌의  연구는  인류를 구할  중요한  단서가 되며  그의  희생이  헛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윌 스미스의 연기가  가장  인상적으로  남습니다.입니다. 그는 영화의 대부분을 혼자 이끌어나가야 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절망과 희망을 넘나드는 감정을 탁월하게 표현했습니다.

특히 샘을 잃고 절망하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강렬한 감정을 전달합니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뉴욕의 황량한 배경 묘사는 강한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조용한 도시, 버려진 차량과 건물, 무너진 다리 등은 종말 이후의 분위기를 완벽하게 표현합니다.

또한,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운드 디자인과 촬영 기법이 영화의 완성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원작 소설과 다소 차이를 보입니다. 원작에서는 네빌이 다크시커들에게 오히려 '전설'이 되어버린

존재로 그려지며, 인간이 아닌 새로운 존재들의 세계 속에서 그가 '괴물'이 되어버린다는

철학적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이를 단순한 감동적인 희생 이야기로 마무리하며

원작의 깊은 주제를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총평

 이 작품은   인간성과 희생에 대한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윌 스미스의 연기, 감각적인 연출, 강렬한 몰입감이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나는  전설이다  이 작품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를 좋아하는 관객들에게 강력 추천할 만한 작품입니다.

또한, 인간의 고독과 생존, 희망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는 영화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