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남미 대륙은 수천 년 전부터 찬란한 고대문명들이 탄생하고 사라진 땅입니다.

특히 잉카 제국의 중심지였던 페루는 유적과 신비가 공존하는 고고학의 보고(寶庫)로 평가받습니다

. 이 글에서는 남미 고대문명의 대표 유적지인 마추픽추, 나스카 라인, 잉카 문명의 특성과 차이점,

공통된 세계관을 비교해보며, 이들이 남긴 유산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보겠습니다.

 

페루의 마추픽추


구름 위의 도시, 마추픽추의 신비 (마추픽추)

안데스 산맥 해발 약 2,430m 고지에 위치한 **마추픽추(Machu Picchu)**는

‘공중도시’라는 별명처럼 하늘과 가장 가까운 고대 유적으로 불립니다.

잉카 제국의 제9대 황제 파차쿠티에 의해 15세기경 건설되었으며,

1911년 미국 탐험가 하이럼 빙엄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마추픽추는 정치·종교·천문학적 기능이 복합된 도시로, 약 200여 개의

석조 건축물, 계단식 농지, 신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신 인티(Inti)**를 위한

신전인 ‘태양의 사원’은 해가 지는 위치에 정렬되어 있어 잉카인의 정교한 천문 지식을 보여줍니다.

흥미롭게도 마추픽추는 스페인의 정복을 피한 유일한 잉카 도시로, 거의 온전한 형태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건축물은 모르타르 없이 정교하게 돌을 쌓아 올린 ‘아시틀로 공법’으로 만들어졌으며

, 안데스 산지의 지진을 견디는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남미 고대문명의 상징으로 손꼽힙니다.

 

 

 

나스카 라인

 


하늘에서만 보이는 그림, 나스카 라인의 수수께끼 (나스카)

나스카 라인(Nazca Lines)은 페루 남부 사막 지대에 새겨진 거대한 지상화로,

500여 개의 직선, 기하학 도형, 동물 형상이 약 50km² 넓이의 사막에 걸쳐 분포합니다.

주요 도안으로는 거미, 원숭이, 벌새, 도마뱀 등이 있으며, 각 길이는 수십에서 수백 미터에 달합니다.

이 지상화는 기원후 100년경부터 나스카 문화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그 용도는 지금도 논쟁의 대상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가설은 천문 관측용 달력,

의례적 제사 공간, 외계인과의 교신 수단 등입니다. 특히 하늘에서만 전체 형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 항공 사진이 등장하기 전까지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유적이기도 합니다.

나스카 라인의 제작 방법 또한 흥미롭습니다. 표면의 검붉은 자갈을 걷어내고

, 그 아래의 밝은 색 흙을 노출시켜 선을 그렸으며, 놀랍게도 오늘날까지 거의 변형 없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막의 건조한 기후, 바람이 적은 지형 조건 덕분입니다.

나스카는 집단적 신앙과 관측력, 공동체 협업 능력을 보여주는 남미 고대문명의 또 다른 상징입니다.

 

 

잉카 문명

 

잉카 문명, 남미의 마지막 제국 (잉카)

잉카 문명은 13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남미 안데스 지역을 지배했던 강력한 고대 문명으로,

오늘날의 페루, 에콰도르,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일부에 걸친 **광대한 제국(타완틴수유)**을 구축했습니다.

수도는 쿠스코였으며, 이곳은 **“세계의 배꼽”**이라 불릴 만큼 문화·정치의 중심지였습니다.

잉카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키푸(Quipu)**라는 매듭 문자와 뛰어난 행정 조직,

도로망으로 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했습니다. 대표적인 잉카 도로망 ‘카파크 냐’는 제국 전역을

연결하며 물자와 정보, 군대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게 했습니다.

종교적으로는 태양신 인티를 최고의 신으로 섬겼고, 모든 황제는 태양신의 자손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들은 미라화된 황제의 시신을 신전에서 제사 지내는 문화를 갖고 있었고

각종 농경 기술과 축제도 태양과 깊은 관련이 있었습니다.

잉카 문명은 1533년 스페인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에 의해 멸망했지만,

건축·공학·종교·언어(케추아어) 등에서 그 유산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 페루 원주민의 일상에서도 잉카의 전통과 세계관이 남아 있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결론: 요약 

마추픽추는 하늘과 가까운 신성한 도시였고, 나스카 라인은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미스터리한 메시지였습니다. 잉카는 남미 문명을 집대성한 거대한 제국이었습니다.

이 세 유산은 각기 다른 형식으로 고대 남미인의 철학, 기술, 종교를 표현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문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이 신비로운 유산들을 따라

남미로 시간 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